[게임스트리밍] Apollo설치하기, 가상모니터 사용하기 [3편]

Apollo의 장점, 가상 모니터 활용하기
apollo에 대해 선행이 필요합니다.
apollo 설치부터 진행하세요.
이전글
게임 스트리밍, 문라이트와 선샤인(moonlight, sunshine) 개념
[게임스트리밍] Apollo, artemis 아폴로 설치편[2편]
선샤인에서 포크로 나온 아폴로의 가장 큰 장점은
가상모니터 추가가 가능한 점입니다.
가상모니터는 말 그래도 실제로는 없는 모니터를 있는 것처럼(가상)으로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입니다.
선샤인 사용할 때 가상모니터가 필요하다면,
더미(물리적인 장치)나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했는데,
별도로 사용하는 것없이 하나로 합쳐져 사용과 관리가 편해졌습니다.
Apollo에서 가상모니터 활성화하기
아폴로 웹페이지를 접속합니다.
applications 를 접속해보면 ‘name’항목들이 나오는데,
이 항목들은 본체기기에 접속할 때 접속할 환경(=프로그램)을 뜻합니다.
desktop으로 접속하면 기본 화면(바탕화면)으로 접속이 되고,
스팀으로 접속하면 스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스팀화면이 바로 나오게 됩니다.
가상 모니터는 이 ‘어플리케이션’마다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상 모니터를 활용하도록 하는 방법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Edit’를 눌러 세부 항목 중
Always use Virtual Display 를 체크 하여, 사용하도록 합니다.
가장 아래로 내려가 Save를 통해 설정을 저장합니다.
이것만으로 우리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할 때,
가상모니터를 생성해 접속을 하게됩니다.
Apollo 가상 모니터 활용 실전
왜 이런 가상모니터를 설정해야 할까요.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태로는
기술 지원을 받는 원격프로그램과 동일한 구동방식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모니터를 그대로 뿌려주는 방식입니다.
동일한 화면이 두 곳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큰 틀에서 가상모니터는 꼭 필요한 환경은 아닙니다만,
두 가지 정도 활용점이 있습니다.
- 필요없는 화면은 사용하지 않게 한다.
실제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는 아무도 없는 환경에서 있기 때문에
유령처럼 혼자 움직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 모니터를 끌 수 있습니다.
- 외부기기(실제 활용하는 기기)의 액정에 맞는 해상도로 구동이 가능하다.
모니터마다 스펙이 존재합니다.(해상도, 주사율, hdr 등)
원래는 본체의 모니터의 성능을 기반으로 화면을 뿌려지지만,
가상모니터를 활용하면 실제 사용하는 기기에 맞는 화면을 송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가상모니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Apollo가 설치된 본체 PC의 모니터 끄기
첫번째 점을 활용하려면 가상모니터가 연결될 시, 기존 모니터(본체모니터)를
끄는 설정을 진행해주면 됩니다.
윈도의 설정으로 가능합니다.
외부기기로 접속을 합니다.
첫 단계에서 Virtual Display 사용하도록 해두었으면,
본체에 모니터가 2개 연결된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식별 버튼을 모니터를 구분합니다.
위의 이미지를 참조하면, 본체 모니터1, 외부 모니터2로 지정되었습니다.
2번 모니터를 활용할 예정이므로 2번을 주 모니터로 만들고,
모니터 선택을 2에만 표시로 변경합니다.
설정을 마무리하면, 기능에 따라 본체 모니터(1)은 어두워지거나 절전이 됩니다.
디스플레이 세부 정보를 보면 연결은 되어 있으나,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모니터가 꺼져있는 상태가 된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관련 글
게임 스트리밍, 문라이트와 선샤인(moonlight, sunshine) 개념
[게임스트리밍] Apollo, artemis 아폴로 설치편[2편]